산 호수 강 물 나무 사막
이미지 출처: Unsplash

2025년 3월 30일 중국 언론사 인민망(人民网)에 따르면, 3월 27일(현지 시간) 신장위구르자치구(新疆维吾尔自治区1, 이하 ‘신장’)의 우루무치(乌鲁木齐)2를 기점으로 신장 지역의 남북을 잇는 Y950 관광 열차가 개통됐다. 개통 첫 날, 약 380명에 달하는 관광객이 열차를 이용해서 신장을 순회하는 패키지여행 상품에 참여하는 등 신장 여행에 대한 관광객들의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그동안은 신장의 후커우(戶口)3에 등록된 중국 국적자가 아니면, 반드시 신장지구여행허가증(新疆旅行许可证)4을 소지해야 했기 때문에 신장을 자유롭게 여행하기가 어려웠다. 하지만, 2025년 초에 상무부(商务部), 문화관광부(文化和旅游部), 중국국가철도그룹(国铁集团)5 등 9개 부서가 공동으로 ‘서비스 소비 발전을 촉진하기 위한 실버 관광 열차 개통 확대에 관한 행동 계획(关于增开银发旅游列车促进服务消费发展的行动计划)’을 발표했다. 이에 따라 일반 관광객이 이전보다 신장을 방문하기 쉽도록 바이두 AI(Artificial intelligence)를 활용한 신장지구여행허가증(新疆旅行许可证) 발급 가이드라인이 배포됐다.(출처: 바이두AI )

Y950 관광 열차의 개통 이후, 신장철도부(新疆铁路部)는 신장의 대표적인 관광 자원인 꽃을 활용해 60대 이상 여행객들에게 적극적으로 홍보했다. 또한, 노년층 관광객의 편의를 위해 철도 노선과 관광지 간 연계를 강화하고, 민간 여행업체와 협력해 수화물 운반 서비스를 제공하는 등 여행 환경을 개선했다. 이와 함께 ‘느린 여행’을 콘셉트로 내세워 신장의 자연경관을 감상하면서 사진 촬영, 차 마시기, 석양 감상, 별자리 투어 등을 즐길 수 있는 여행 상품도 출시했다.

그럼에도 일각에서는 여행객들의 반응이 신장 관광산업의 성패를 좌우할 수 있다는 평가가 제기되고 있다. 신장은 중국이 특별 관리하는 지역으로 공안(公安) 경찰의 검문 강도가 높아 여행객을 지치게 만드는 경우가 많았기 때문이다.(출처: 조세일보) 신장과 티베트자치구(西藏自治区)6 등 정부가 지정한 일부 지역은 여행허가증(旅行许可证)이 필요하기 때문에 발급까지 보통 1-2주의 시간이 소요된다. 또한 반드시 중국 국적의 가이드가 인솔하는 여행사 프로그램을 이용해야 하기 때문에 비용 부담이 크고, 일정 조정이 어렵다는 단점도 있다.

하지만 이번 열차의 개통이 호평을 받아 관광 수요가 증가한다면, 중국 정부가 관광 수입을 위해 신장 지역의 출입 절차를 간소화 할 가능성도 있다. 이는 중국이 추진하는 서부대개발(西部大开发)7 정책과도 맞물려, 신장 지역이 중국 서부의 주요 관광지로 자리잡을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다. 더 나아가, 궁극적으로는 신장 관광산업의 활성화를 통해 동서 지역 간 경제 격차를 줄이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관련 기사의 자세한 내용은 다음의 기사 내용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기사 확인

  1. 신장위구르자치구: 중국 북서부에 위치한 지역이다. 러시아(Russia)와 카자흐스탄(Kazakhstan)의 국경을 맞대고 있으며, 고대에 서역이라 부르던 지역으로 실크로드의 시작점이다. (출처: 네이버 백과사전) ↩︎
  2. 우루무치: 신장위구르 자치구의 성도이며, 신장 지역의 최대도시이다. 실크로드 철도의 경유지로 인접국가의 알마티(Almaty), 타슈켄트(Tashkent)까지 중국의 철도가 연결되어 있다. (출처: 네이버 백과사전) ↩︎
  3. 후커우: 중국의 신분ㆍ거주지 증명제도이다. 우리나라의 주민등록제도ㆍ본적제도와 비슷하지만, 거주지를 변경하는 것이 현실적으로 거의 불가능하다는 차이가 있다. (출처: 네이버 백과사전) ↩︎
  4. 신장지구여행허가증: 신장위구르 지역을 출입하기 위한 허가증이다. 중화인민공화국에서 지정한 일부 지역을 출입하기 위한 통행증의 일종이다. (출처: 바이두 백과사전) ↩︎
  5. 중국국가철도그룹: 중국의 철도 여객ㆍ화물서비스를 총괄하는 중화인민공화국 재정부 산하의 국유독자기업이다. (출처: 바이두 백과사전) ↩︎
  6. 티베트자치구: 중국 서남부에 위치한 지역으로 인도(India), 미얀마(Myanmar), 네팔(Nepal) 등의 국가와 국경을 맞대고 있는 지역이다. (출처: 네이버 백과사전) ↩︎
  7. 서부대개발: 서부의 경제발전을 통해 지역균형 발전을 도모하는 중국의 정책이다. 후진타오(胡锦涛) 시대부터 시작된 ‘화해사회’ 정책의 일환으로 조화로운 사회를 지향하는 중국의 경제발전 계획이다. (출처: 바이두 백과사전) ↩︎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