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월 9일 사우스 차이나 모닝 포스트(SCMP, South China Moning Post)에 따르면, 국립국방기술대학(国防科技大学)과 베이징 항공우주관제센터(北京航天飞行控制中心)가 공동 개발한 컴퓨터 시스템이 자국 위성에 대한 상세한 데이터 베이스를 기록하고 있다고 한다. 공개적으로 보고된 다른 데이터 베이스와 달리, 이 컴퓨터 시스템은 위성의 약점을 발견하고, 위성을 해킹할 수 있는 가장 효율적인 방법을 결정하거나 권고할 수 있다.
최근 경제성과 효율성 등의 이유로 정부와 군의 민간 위성 사용이 증가하고 있기 때문에, 이러한 시스템의 도입이 필요하다. 군사 위성과 민간 위성을 통합하여 운용하는 ‘하이브리드 전략’을 통해 지구 관측과 통신 및 첩보의 정확도를 높이려는 국가와 기관이 늘어나고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정부나 군 위성보다 상대적으로 보안성이 취약한 민간 위성에 문제가 발생하면, 그 피해는 공공 시스템으로 확대될 수밖에 없다.
인공지능과 이를 통제하려는 각종 우주기술들은 이미 무기화 되고 있다. 동아 사이언스에 따르면, 만약 누군가 악의를 갖고 특정 국가의 인공위성을 해킹해 통제권을 확보한 후 고의로 경쟁국의 위성과 충돌시키면, 이는 최악의 경우 양국 간 외교·군사적 갈등의 단초가 될 수 있다. 더불어, 불필요한 우주 쓰레기를 만들어 전 세계에 민폐를 끼칠 수도 있다.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간 전쟁 발발 이후, 미국은 자국 인공위성의 보안 강화를 위해 적극적으로 움직였다.
또한, 미국 국토안보부 내에서 사이버 보안을 담당하는 ‘사이버 보안 및 인프라 보안국(CISA, CYBERSECURITY & INFRASTRUCTURE SECURITY AGENCY )’은 지난 17일 자국 인공위성 운영사들에게 보낸 공개 협조문을 통해 “평상시보다 더욱 민감하게 통신망의 상태를 관찰해달라”, 그리고 “아주 작은 이상 징후라도 발견되면 바로 상황을 공유해 달라”고 요청했다. 이어 “접수된 내용에 대해서는 CISA와 FBI(Federal Bureau of Investigation)가 공동으로 사이버 보안 경보를 발령해 다른 업체들이 이에 신속히 대처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출처:동아사이언스)
2021년 11월 러시아가 인공위성 요격 실험을 시행한 이후, 군사적인 관점에서 인공위성이 공격 당할 수 있는 인프라임이 증명되었다. 이에 대한 대응으로 세계 각국은 인공위성의 인프라를 보호하는 동시에 해킹을 예방하는 방안을 고려하고 있는 가운데, 구체적인 대책과 방안이 시급히 도입되어야 할 것으로 전망된다.
해당 기사와 관련된 자세한 기사는 다음 기사 확인 링크를 통해서 확인할 수 있다. 기사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