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장실
출처:Pixabay

2023년 2월 12일 일본 언론사 아사히 신문(朝日新聞)에 따르면, 도쿠시마시(徳島市)에서 열린 시민 방재 연수회(市民防災研修会)에서 NPO(Non Profit Organization, 민간 비영리 단체)단체인 ‘일본 화장실 연구소(日本トイレ研究所)’의 대표가 재난 상황을 대비한 ‘휴대용 화장실’ 준비를 호소했다.

일본은 자연재해가 자주 발생하는 나라이다. 그 때문에 주민들은 언제나 긴급대피를 위해 안전에 주의를 기울이고 있다. 대다수 가정은 피난소에서 사용할 긴급대피 준비물이 있는 가방을 챙겨두고, 생수를 비축해 놓는다. 그러나 긴급대피 가방에는 대부분 음식과 물 등 생필품이나 몸을 보호하기 위한 모자나 담요 등만이 들어있다. 휴대용 화장실을 준비한 가정은 15.5%에 불과하다. (참고: NHK)

‘일본 화장실 연구소’에 의하면, 2016년 발생한 구마모토 지진(熊本地震)에서 화장실을 찾은 사람들이 지진 발행 3시간 후에는 40%, 6시간 후에는 70%로 나타났다. 식사를 하기도 전에 화장실을 찾게 된 것이다. 그러나 피난소에서 이동식 화장실을 운영하기 위해서는 적어도 3일 이상의 시간이 소요된다. 이동식 화장실이 운영되기 전까지 화장실 이용을 참는다면 수분 섭취 부족 등 몸에 해로운 일이 발생할 수 있다. 만약 건물 밖의 야외에서 화장실 이용을 해결할 경우 비가 내린 이후에는 환경오염과 악취 등의 위생 문제가 발생한다.

일본 내각부(内閣府)는 재난 발생 직후에 휴대용 화장실을 준비하여 사용할 것을 권고하고 있다. 그 이유로 건물 내 화장실이 정상적으로 사용 가능하다고 하더라도, 재난으로 인해 하수 처리장이 피해를 볼 수 있다는 점을 꼽았다. 무리하게 화장실을 사용할 경우 하수 처리장이 제대로 기능하지 못해 흘러 넘치거나 역류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에 대비하여 1인당 1일 5회분을 기준으로 최소 3일에서 일주일 간 사용할 수 있는 휴대용 화장실을 준비할 것을 권고하고 있다. (참고: 정부 홍보 온라인 홈페이지)

휴대용 화장실은 비닐에 볼일을 본 뒤, 응고제와 탈취제를 넣어 고체 형태로 만드는 방식이 대부분이다. 사용 후 휴대용 화장실임을 알 수 있게 표기하여 가연성 쓰레기로 분리 배출한다. 긴급상황에 대비한 것이지만, 사용 후 악취 문제나 위생 문제로 인해 사용을 꺼리는 사람들도 있다. 최근에는 이러한 휴대용 화장실의 불편함과 이동식 화장실 설치에 오랜 시간이 걸리는 점을 보완한 ‘맨홀 화장실(マンホールトイレ)’이 등장하기도 했다. 맨홀 뚜껑을 열고, 간이 변기를 설치하여 임시 화장실을 확보하는 것이다. (참고: 국토교통성)

재난 상황이 발생하더라도, 자연스러운 신체 반응을 무리하게 억제한다면 오히려 건강이 나빠질 뿐이다. 식량 뿐만 아니라 임시로 사용할 수 있는 휴대용 화장실도 준비하여 긴급 대피 속에서도 건강을 관리해야 한다. 또한, 각 지방자치단체에서는 재난 상황이 발생했을 때 시민들이 최소한의 생활을 영위할 수 있는 다양한 방안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관련 기사의 자세한 내용은 다음의 기사 확인 링크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기사 확인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