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5년 5월 9일 일본 언론사 마이니치 신문(每日新聞)에 따르면, 일본 나라 현(奈良県)은 ‘시정촌 지정 문화재(市町村の指定文化財)‘의 등록과 보존을 위해 관련 건축물에 대한 조사를 완료했다고 밝혔다.
최근 일본의 문화유산이 유네스코(UNESCO) 세계유산에 연이어 등재되면서 문화재에 대한 일본 국민들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그만큼 지역 문화재의 보존 및 활용을 위한 지방자치단체의 역할도 중요해졌다. 이에 전국의 많은 지방자치단체가 문화재 보호 조례(文化財保護条例)를 제정하고, 지역 내에 존재하는 문화재를 ‘시정촌 지정 문화재’로 지정하는 등 문화재 보호를 위해 힘쓰고 있다. ‘시정촌 지정 문화재’를 보유한 지방자치단체는 자체적으로 관리 및 수리하여 시민들에게 공개해야 한다. 개인이 해당 문화재를 소유하고 있는 경우에는 방치되지 않도록 관리 및 수리를 지방자치단체가 보조하고 있다. 2024년 5월을 기준으로 99,029건이 ‘시정촌 지정 문화재’로 등록되었다. (참고: 문화청)
한편, ‘시정촌 지정 문화재’는 행정 지원도 많지 않고, 시민에게 잘 알려지지 않아 숨겨진 문화재(かくれ文化財)로 불리기도 한다. 비영리 단체 ‘나라 마호로바 소믈리에 협회(奈良まほろばソムリエの会)’는 자연스럽게 숨겨진 문화재에 대한 시민들의 관심을 높이고, 정책적 지원을 확대하기 위해 2년여에 걸쳐 나라 현 내 ‘시정촌 지정 문화재’로 지정된 건축물 300여 점 중 200여 점에 대한 현장 조사를 마쳤다. 관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도난이 우려되는 문화재도 있었으며, 현장 조사를 거부당한 경우도 적지 않았다.
이번 문화재 방문 조사는 단순히 건축물의 보존 상태를 기록하는 것에 그치지 않았다. 건축물과 그 주변 지역의 화재, 수해, 지진 등 위험요소에 대비하는 대책과 해당 문화재의 보호 현황, 앞으로의 과제, 조사자의 소감 등 문화청(文化庁)도 알지 못하는 정보들을 자세하게 기록했다. ‘나라 마호로바 소믈리에 협회’의 오구라 쓰키코(小倉つき子) 씨는 “미술 전문가가 아니지만, 문화재가 지역사회와 어떤 관계가 있는지에 중점을 두어 조사했다”고 언급하며, 이번 조사가 시정촌 지정 문화재를 어떻게 지켜나갈 것인가에 대한 힌트가 되었으면 한다”는 소감을 전하기도 했다.
나라 현의 ‘시정촌 지정 문화재’ 조사는 최근 일본 내에서 높아진 문화재에 대한 관심을 지역 관광 자원으로 활용하기 위한 준비로도 보인다. 그러나 현장 접근조차 어려운 문화재가 다수 존재한다는 사실은 법적 보호 이상의 세심한 행정 관리가 필요하다는 점을 방증한다. 문화재 보호를 위한 시민사회와 행정 부처 간의 긴밀한 협력 체계가 어느 때보다 절실한 시점이다.
관련 기사의 자세한 내용은 다음의 기사 내용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기사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