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상 학교 교실 의자
출처 : pixabay

2025년 7월 16일 영국(United Kingdom) 언론사 더 가디언(The Guardian)에 따르면, 독일(Germany) 연방 16개 주가 학교 여름방학 일정을 두고 심각한 의견 충돌을 겪고 있다고 한다. 특히 남부 바이에른(Bavaria)과 바덴뷔르템베르크(Baden-Württemberg) 주가 기존의 전국 순환제를 거부하고, 수확기와 맞물린 늦은 방학 일정을 고수하면서 갈등이 빚어지고 있다.

독일의 대부분의 주는 여름방학 시기를 조정해 순차적으로 운영하는 ‘순환제’를 따르고 있다. 이 제도는 주마다 방학 시작일과 종료일을 달리해 교통 혼잡을 줄이고, 관광 수요를 분산시키기 위해 1964년에 도입되었다. 5년마다 재협상된다. 그러나 남부 주는 “수확철에 아이들의 노동이 필요하다”는 이유로 이 순환제를 채택하지 않았다. 문제는 남부 주들이 순환제를 도입하지 않은 이유가 현재 농촌의 현실과 더 이상 부합하지 않는다는 점이다. 여전히 독일 전역에 25만 개 이상의 대형 농장이 존재하지만, 아동 보호법과 농업의 자동화로 실제 농사에 동원되는 아이들이 거의 없기 때문이다. 아이들은 가족 소유의 농장에서 일할 수 있지만, 하루 최대 3시간으로 제한된다.

그럼에도 바이에른주와 바덴뷔르템베르크주는 “이 시기는 전통이자 문화”라고 주장하며, 방학 일정의 유지를 고수하고 있다. 바이에른주 총리 마르쿠스 죠더(Markus Söder)는 “지금의 방학 일정은 바이에른 사람들의 DNA(Deoxyribo Nucleic Acid)에 각인된 것”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또한 *오순절 휴일과 여름방학 사이의 간격이 너무 짧아 일정 조정이 어렵다고 덧붙였다. 이에 대해 다른 연방주들은 강하게 반발했다. 독일에서 가장 인구가 많고, 농장 수가 전국에서 세번째로 많은 노르트라인웨스트팔렌(North Rhine-Westphalia)의 교육부장관 도로테 펠러(Dorothee Feller)은 “우리도 늦은 방학을 누릴 자격이 있다. 공정한 논의가 필요한 때” 라고 전했다. 니더작센(Niedersachsen)과 튀링겐(Thüringen) 등 다른 주들도 현 체계가 불공정하다고 주장하며, 개편을 촉구하고 있다. 

과거에는 독일에서 아이들이 농사일에 일손을 보태는 일이 흔했다. 당시 도입된 방학 특례는 농촌 공동체를 위한 배려였다. 그러나 시대는 달라졌고, 수확철에 아이들이 농사일을 돕는 경우는 극히 드물다. 그럼에도 일부 주는 여전히 그 이유를 앞세워 모든 학교와 학생들이 선호하는 방학 시기를 고정적으로 확보하고 있다. 전통이라는 말이 모든 불균형을 정당화할 수는 없다. 이제는 과거의 관행을 되돌아보고, 더 많은 아이들에게 공정한 여름방학을 보장할 수 있도록 제도를 재정비해야 할 것이다.

관련 기사의 자세한 내용은 다음의 기사 확인 링크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기사 확인

*오순절: 기독교의 축일, 예수의 부활 이후 50일째 되는 날에 성령이 강림한 것을 기념하는 날이다. (참고: Wikipedia)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