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5년 5월 18일 스페인(Spain) 언론사 유로위클리 뉴스(Euro Weekly News)에 따르면, 스페인 정부는 임금 삭감 없이 주당 최대 법정 근로시간을 기존 40시간에서 37.5시간으로 단축한다고 발표했다. 이번 발표는 2025년 유럽(Europe) 내 노동 정책 중 가장 주목받는 시도로 평가된다. 이에 노동자, 기업, 정치권의 관심과 논란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새롭게 발표된 노동법은 2025년 말까지 주당 근로시간을 37.5시간으로 단계적으로 줄일 예정이다. 소매업, 기술직, 접객업 등 장시간 무급 초과근무가 일상화된 직종에서 일하는 노동자들의 삶의 질을 높이는 것을 목표로 한다. 또한 근로시간 추적 시스템의 도입, 근무 시간 외 노동과의 연결을 차단하는 권리 강화, 일과 삶의 균형 개선 및 결근율 감소 등의 조치도 포함되어 있다. 이는 스페인 내 많은 노동자가 계약 외 근무에 대해 정당한 보상을 받지 못하는 현실을 바로 잡으려는 정부의 강한 의지를 보여주는 조치이다. 이 정책은 스페인 노동부 장관이자 좌파 정당 수마르(Sumer)의 지도자인 욜란다 디아즈(Yolanda Diaz)가 주도하고 있다. 그녀는 법안을 옹호하며, “노동이 생명을 훔쳐서는 안 된다”고 강조하기도 했다. 하지만 이번 정책은 노동자와 좌파 연합의 지지를 받는 반면, 반대 측은 생산성 저하와 중소기업에 많은 부담을 줄 수 있다고 우려를 표하고 있다.
이번에 발표된 스페인의 정책은 국제적으로도 주목을 받고 있다. 이미 프랑스(France)는 2000년부터 주 35시간 근무제를 시행하고 있으며, 벨기에(Belgium)는 주 40시간 근무를 4일로 압축할 수 있는 제도를 도입했다. 특히 아이슬란드(Iceland)는 주 4일 근무제의 실험을 성공적으로 마쳤다. 그러나 스페인의 정책은 임금 삭감 없이 근로시간을 줄인다는 점에서 다른 유럽 국가들의 노동 정책과 차별화 된다. 또한, 근무일을 압축하지 않고, 근로시간만을 줄여 근로자들이 보다 여유로운 일과 삶의 균형을 유지할 수 있다는 점이 주목을 받고 있다.
이번 정책의 의미는 단순히 근로시간의 단축에 그치지 않는다. 높은 실업률, 만연한 번아웃(Burnout), 그리고 과로가 일상화된 사회에서 근로자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장기적으로는 사회 전반의 생산성 향상을 이끌 수 있다. 그러나 일부 기업이 정규직 대신 단기 계약직이나 파트타임 고용을 확대할 가능성이 있는 만큼, 고용 안정성과 사회 안정망의 약화를 방지하기 위한 지속적인 관찰과 대응이 필요하다.
관련 기사의 자세한 내용은 다음의 기사 확인 링크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기사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