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12월 14일 홍콩 언론사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outh China Morning Post, SCMP)에 따르면, 이차전지 및 태양광 전지와 같은 중국의 신에너지 소재 산업들이 과잉 공급으로 인해 위기에 봉착했다고 한다. 중국은 정책적인 지원과 정부 보조금, 제조 인프라 네트워크(infrastructure network)를 통해 이차전지 사업에서 최대 점유율을 달성했다. 특히 태양광 전지의 경우는 절대 우위를 차지했지만, 생산량이 과도하게 늘어난 결과로 공급이 국내 수요를 초과한 상황을 맞고 있다. 해외 시장의 높은 무역 장벽으로 인해 과잉 공급이라는 상황에 맞닥뜨리게 된 것이다.
과잉 공급된 신 에너지 소재가 수출에 차질을 빚는 이유는 차세대 산업에 대한 각국의 경쟁에 따른 자국의 산업 보호와 미·중 패권전쟁으로 인한 갈등 때문이다. 트럼프(Trump) 전 미국 대통령 당시에는 중국산 이차전지에 대한 관세 조치로 수입을 막았으며, 바이든(Biden) 현 대통령에 이르러서는 인플레이션(inflation) 감축법*에 따른 미국 내 신에너지 제조업에 대한 지원 때문에 중국의 신에너지 제품의 경쟁력이 약화되었다. 유럽연합(European Union, EU)은 중국을 표적으로 하여 전기차 부문에서의 정부 보조금을 조사하고 있다.
신에너지 소재 분야에서 중국의 생산 능력은 내수시장에서 전부 소화할 수 없을 만큼 엄청나다. 중국은 이러한 상황을 인식하고 해외 활로를 적극적으로 찾고 있다. 미국 및 유럽의 친환경 자동차 업체와 적극적으로 협력하고, 서방 국가에 위탁 생산을 적극적으로 시행하는 등 해외 판매의 활로 개척을 지속적으로 추진하는 것이다.
하지만 전기차 성장세가 주춤하는 것이 악재로 작용하고 있다. 올해 상반기 중국의 전기차 판매량은 전년 대비 32% 늘었지만, 성장률은 2022년(109%) 대비 3분의 1 수준으로 떨어졌다. 이 같은 과잉공급 문제가 지속될 지속된다면 중국발 배터리 덤핑(dumping) 공세도 우려된다. 재고떨이로 배터리를 저렴한 가격에 대량 수출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다. 이 경우 중국 내 경쟁이 심화됨은 물론, 업계 2위인 한국과 3위인 일본의 배터리 기업도 가격 경쟁력에서 타격을 입게 된다.
장기적으로 중국은 신에너지의사용을 적극적으로 장려하여 국내 수요를 촉진하고, 과잉생산 문제를 완화해야 하는 과제를 안고 있다. 과잉생산 문제가 해결되기 전에 이차전지의 신기술 개발이 급속히 진전된다면 과잉생산품이 그대로 잉여생산품이 될 가능성이 있다. 향후 중국 정부의 정책 변화를 주목해 볼 필요가 있다.
관련 기사의 자세한 내용은 다음의 기사 확인 링크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기사확인
*인플레이션(inflation) 감축법: 2022년 8월 16일 급등한 인플레이션 완화를 위해 발효한 미국의 법이다. 기후변화 대응, 의료비 지원, 법인세 인상 등을 골자로 한다. 전기차 구매 시 중국 등 우려국의 부품이 일정률 이하로 사용되었을 때만 보조금을 지급하기 때문에, 전기차 가치사슬에서 중국을 배제하려는 의도가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출처: 네이버 지식백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