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민 이주 미성년자이민
이미지 출처 : shutterst

2025년 3월 23일 중남미 언론사 프렌사 라티나(PRENSA LATINA)에 따르면, 파나마(Panama)와 코스타리카(Costa Rica) 정부가 불법 이주 문제에 대응하기 위한 협력을 확대하고 있다. 양국의 관계자들은 최근 회의를 열어 불법 이주를 통제하고, 이주자들의 안전한 귀환을 돕기 위해 다양한 방안을 논의했다.

해당 회의에는 파나마의 루이스 펠리페 이카사(Luis Felipe Icaza) 보안부 차관과 코스타리카의 마리오 사모라(Mario Zamora) 보안부 장관이 참석했다. 이들은 양국이 시행 중인 이주 관리 정책의 성과를 점검했다. 그 결과, 파나마 다리엔(Darién) 정글을 통과하는 불법 이주자 수가 99%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성과는 불법 경로의 차단, 해상 감시의 강화, 인도주의적 이동 통로의 단일화 등 다양한 조치를 취한 덕분이다. 또한 미국(United States of America)과의 협약을 통해 불법 이주자의 송환 절차가 이루어진 후, 최근 역이주의 증가를 확인할 수 있었다.

코스타리카 정부는 리몬(Limón) 항만의 보안을 더욱 강화하기 위한 대책을 발표하며, 파나마 측에 이주자의 이동과 관련된 행정 절차를 명확하게 설명해 줄 것을 요청했다. 이에 파나마 국가이주서비스(Servicio Nacional de Migración, SNM)의 로저 모히카(Roger Mojica) 국장은 최근 미국에서 송환된 299명의 이주자 중 189명이 본국으로 돌아가기를 선택했고, 3명은 항공권 구매 절차를 진행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나머지 체류자들에게는 인도주의적 차원에서 임시적으로 체류가 허가되었다.

공식 통계에 따르면, 파나마에는 역이주가 시작된 이후 총 4,337명의 이주자가 들어왔다. 주로 베네수엘라(Venezuela), 콜롬비아(Colombia), 페루(Peru), 에콰도르(Ecuador), 칠레(Chile) 등 남미 국가 출신이고, 그 외에도 36개국 출신의 사람들이 이주했다.

중미 지역에서 불법 이주는 지속적인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많은 이주자들이 미국으로의 이주를 시도하지만, 최근에는 경제적 어려움과 강화된 이민 정책 등의 이유로 본국으로 되돌아가는 경우도 많다. 이에 파나마와 코스타리카 정부가 이주자들의 안전한 귀환을 지원하는 정책을 추진하고 있는 것이다.

한편, 지난 2월 11일(현지시간) 파나마의 프랭크 아브레고(Frank Ábrego) 보안부 장관과 코스타리카의 마리오 사모라 장관은 산호세(San José)에서 만나 역이주 문제를 관리하기 위한 방안을 논의했다. 양국은 코스타리카 내 지원 센터를 통해 이주자들을 조직적으로 관리하고, 파나마로 이송한 뒤 본국으로 송환하는 절차를 단계적으로 진행하기로 합의했다.

파나마와 코스타리카 정부는 앞으로도 불법 이주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긴밀한 협력을 이어갈 계획이다. 국경 지역의 감시를 강화하는 동시에, 이주자들의 인권을 보호하는 조치를 병행해 보다 체계적인 이주 관리 정책을 마련할 방침이다. 이주자들의 안전이 보장되는 방향으로 양국의 협력이 지속되기를 기대한다.

관련 기사의 자세한 내용은 다음의 기사 확인 링크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기사확인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