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5년 7월 15일 중남미 언론사 메르코프레스(Mercopress)에 따르면, 우루과이(Uruguay) 정부가 현재 주당 최대 법정 근로시간을 기존의 48시간에서 40시간으로 단축하는 방안을 본격적으로 논의 중이다. 1915년 세계 최초로 8시간 근무제를 법제화한 우루과이가 다시 한번 노동시간 개혁을 논의하고 있어 국내외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우루과이 노동사회보장부(Ministry of Labor and Social Security, MTSS)는 노동조합, 기업, 경제 전문가들과 함께 새 법안의 도입 가능성에 대해 논의 중이다. 이에 MTSS의 마르셀라 바리오스(Marcela Barrios) 노동국장은 “100년 전의 개혁만큼 거대한 변화는 아니지만, 중요한 논의임은 분명하다”며, “근로시간 단축은 연간 휴식 시간의 증가로 이어질 수도 있어 개혁을 추진하고 있다”고 밝혔다.
노동계는 우루과이 노동총연합(Plenario Intersindical de Trabajadores-Convención Nacional de Trabajadores, PIT-CNT)을 중심으로 40시간제 도입을 강력히 요구하고 있다. 현행 주 48시간 근로 기준이 기술 발전과 사회 변화에 맞지 않다고 지적하며, 노동자들에게 충분한 여가와 자기 계발의 시간을 보장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것이다.
반면, 기업계는 신중한 입장을 취하고 있다. 전체 기업의 78%가 중소기업 이하 규모를 가진 우루과이에서 일률적인 노동시간 산업별·기업별로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우려를 표하는 것이다. 이에 생산성 향상이 전제되어야 한다는 입장을 밝히고 있다. 실제로 우루과이의 시간당 생산성은 경제협력개발기구(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OECE) 평균 대비 약 30%에 불과한 낮은 수준이다.
현재 MTSS는 프랑스(France), 아이슬란드(Iceland), 영국(United Kingdom), 칠레(Chile) 등 여러 국가들의 노동시간 단축 사례를 면밀히 분석 중이다. 프랑스는 2000년부터 35시간제를 시행해 연간 근로시간을 줄였으며, 아이슬란드는 2015~2019년에 35~36시간 근무제의 시범 사업을 통해 스트레스 감소와 생산성 유지 등 긍정적인 결과를 얻었다. 영국은 2022년, 4일 근무제를 시범 운영하면서 스트레스와 번아웃(burnout) 감소, 생산성 향상 등의 효과를 확인했다. 칠레 역시 2024년부터 2028년까지 점진적으로 주 45시간에서 40시간으로 줄여 나갈 계획이다.
우루과이 정부는 이처럼 다양한 국제 사례를 참고해 각계의 이해를 조율하고, 산업별 현실에 맞는 방안을 모색할 방침이다. 일부 기업들이 이미 근로시간의 단축 실험에 나선 가운데, 국가 차원의 제도화를 위해서는 생산성과 노동자 복지 간의 균형을 정교하게 설계하는 것이 과제로 남아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과연 우루과이가 다시 한번 노동 정책의 선도 국가로 자리매김할 수 있을지, 그 귀추가 주목된다.
관련 기사의 자세한 내용은 다음의 기사 확인 링크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기사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