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11월 26일 중국 언론사 인민망(人民网)에 따르면, 최근 중국에서는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 AI) 기술의 발달로 문화가 혁신적으로 변화하고 있다. 예컨대, 달 여행을 떠나기 위해 인공지능으로 제작된 영화를 시청하거나, 바리스타(barista) 로봇(robot)이 내려주는 커피(coffee)를 맛보는 경험을 할 수 있다. 또한 자율주행 기술에 디지털(digital) 문화를 창착하거나 헬스케어(healthcare) 기술에 AI를 접목하는 등 그간 중국은 정부 차원에서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중국은 2024년 11월 19일(현지 시각) 저장(浙江)성 자싱(嘉興)시 우전(烏鎮)진에서 세계인터넷대회(World Internet Conference)인 “인터넷의 빛” 박람회를 개최하여 최첨단 기술과 다양한 인공지능의 응용 사례를 선보였다. 지난 10년 동안 세계인터넷대회는 기술 혁명과 산업 혁신이 빠르게 진행되는 모습을 보여줬으며, 특히 인공지능의 영향력을 강조했다.
전통적인 문화와 인공지능을 활용한 디지털(digital) 문화의 결합은 인공지능이 인간의 창작 한계를 넓히고, **문화적 상상력을 자극한다는 점을 보여준다. 예컨대, 이번 박람회에서 선보인 AI 체험 공간에서는 사람들이 가상 ***아바타(avatar)를 통해 고대 시인 이백(李白)과 함께하는 경험을 했다. AI는 문화의 새로운 발견을 이룰 뿐만 아니라 사회적 약자를 돕는데도 크게 기여한다. 예를 들어, ****뇌-컴퓨터 인터페이스(brain-computer interface, BCI) 기술은 몸이 불편한 사람이 서예를 쓰거나 물건을 들어 올리는 등의 활동을 가능하게 하기 때문이다.
한편, AI가 가져오는 문제들도 수면 위로 떠오르고 있다. 예를 들어, AI 생성 콘텐츠의 표절 문제나, *****딥페이크(deepfake) 기술의 악용 등은 윤리적·사회적 논란을 일으키고 있다. 2024년 9월 15일(현지 시각), 중국 당국은 이러한 논란을 잠재우기 위해 AI로 제작된 콘텐츠(content)에 AI로 제작한 사실을 분명히 밝혀 식별을 의무화하는 규정의 초안을 발표했다. 해당 초안은 AI로 만들어진 콘텐츠의 제작, 전시, 배포 기간에 AI로 제작한 사실을 눈에 띄는 표시로 분명히 밝혀야 한다고 규정했다. 또한, 딥페이크를 규제하는 ‘인터넷 정보 서비스 딥(deep) 합성 관리 규정’을 마련했다. (출처: 한국경제)
디지털 기술과 AI는 인간 삶의 모든 영역에서 변화를 이끌고 있다. 하지만 기술의 발전은 언제나 양면성을 가지며, 윤리적·사회적 책임을 동반해야 한다. AI가 단순한 도구를 넘어 삶과 사회의 핵심 요소로 자리 잡고 있음을 인식하고, 앞으로 기술 남용의 방지와 안전한 발전을 도모하기 위한 규제와 정책이 지속적으로 강화될 것으로 보인다. 기술의 선한 활용과 책임 있는 관리가 균형을 이루는 미래를 기대한다.
관련 기사의 자세한 내용은 다음의 기사 확인 링크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기사 확인
*인공지능: 인간의 인지·추론·판단 등의 능력을 컴퓨터로 구현하기 위한 기술 혹은 그 연구 분야를 뜻한다. (출처: 지식백과)
**문화적 상상력: 문화를 창조하거나 생산하는 데 바탕이 되는 상상력이다. (출처: 네이버 국어사전)
***아바타: 분신(分身)·화신(化身)을 뜻하는 말이다. 사이버(cyber)공간에서 사용자의 역할을 대신하는 가상의 캐릭터(character)를 뜻한다. (출처: 지식백과)
****뇌-컴퓨터 인터페이스: 신체의 움직임 없이 상상만으로 기계에 명령을 내릴 수 있게 하는 기술이다. 신체 움직임이 불편한 사람이 용이하게 의사전달을 할 수 있는 새로운 수단이다. (출처: 지식백과)
*****딥페이크: 어떤 인물의 얼굴, 특정한 부위, 목소리 등을 다른 사람으로 바꿔치기 하거나 조작하는 기술이다. (출처: 한국경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