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 친환경 CO2
이미지 출처: istock

2025년 3월 15일 중국 언론사 21스지징지바오다오(21世纪经济报道)에 따르면, 최근 중국이 경제 성장과 환경 보호를 동시에 달성하기 위해 ‘저탄소 발전’과 ‘탄소 배출 감축’을 주요 목표로 삼고 있다고 한다. 이의 달성에는 탄소 배출권 거래 시장과 탄소 금융 시장이 핵심 역할을 하고 있으며, 현재 두 시장은 상호 보완적으로 성장하고 있다. 중국에서는 1997년 ‘교토의정서(Kyoto Protocol)’* 이후 탄소 배출권 시장이 본격적으로 형성되었고, 전 세계적으로도 탄소 거래 시장이 확장되었다. 중국은 2024년까지 탄소 배출권 거래 시장의 확대와 효율성 증대에 주력할 예정이다. 2023년 기준으로 전국 및 지방 차원의 거래소들이 지속적으로 발전하고 있다.

탄소 금융 시장에서는 탄소 배출권을 기반으로 다양한 금융 상품이 거래된다. 주요 금융 상품으로는 탄소 채권**, 탄소 자산 담보 대출***, 탄소 선물****, 탄소 옵션(option)***** 등이 있으며, 해외에서는 이 시장이 활발히 운영되고 있다. 유럽 연합(EU, European Union)은 2023년에 약 93억 톤(t)의 이산화탄소를 거래했다. 반면 중국의 탄소 금융 시장은 여전히 초기 발전 단계에 있으며, 탄소 배출권을 활용한 금융 상품의 거래가 점차 확대되고 있다.

중국 정부는 탄소 금융 시장을 활성화하기 위해 정책적 지원을 확대하고 있다. 2024년에는 ‘녹색 저탄소 발전’을 위한 금융 지원 방안을 제시해 탄소 배출권과 연계된 금융 상품 및 거래 방식을 다양화했다. 또한 2023년에는 탄소 금융 상품에 대한 규제 및 정의를 확립하기 위한 법적 기준을 마련하고, 금융 기관의 참여를 장려하는 방향으로 제도를 개편하기도 했다. 이러한 정책들은 기업들이 탄소 자산을 활용해 자금을 조달하고, 가격 변동의 위험을 관리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탄소 금융 시장은 다양한 금융 상품을 통해 가격 형성과 위험 관리를 돕고, 기업들이 탄소 자산을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돕는다. 특히 탄소 채권은 기업들의 자금 조달을 용이하게 하고, 탄소 선물 및 옵션은 시장의 유동성을 높여 가격 안정성 확보에 기여한다. 또한 탄소 보험과 탄소 지수 등은 시장 참여자들이 보다 효과적으로 위험을 관리하는 데 도움을 준다.

이처럼 탄소 금융 시장의 발전은 중국의 탄소 배출 목표 달성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탄소 배출권 시장이 안정적으로 성장하는 동시에 탄소 금융 시장이 혁신적으로 발전하면, 궁극적으로 중국의 ‘탄소 중립’ 목표와 지속 가능한 경제 성장의 기반이 될 것이다. 다만 현재 탄소 금융 시장이 초기 단계인 만큼, 시장의 투명성 확보와 규제 체계를 더욱 정교하게 다듬는 것이 필수적이다. 또한 기업들이 단순한 금융 거래에 머무르지 않고, 실질적인 탄소 감축에 나설 수 있도록 정책적 장치도 마련해야 한다. 앞으로 중국이 탄소 금융을 어떻게 활용하고, 글로벌 시장과 협력을 확대해 나갈지 주목해 볼 필요가 있다.

관련 기사의 자세한 내용은 다음의 기사 확인 링크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기사 확인

*교토의정서: 지구 온난화의 규제 및 방지를 위한 국제 협약인 기후변화협약의 수정안이다. (출처: 위키백과)

**탄소 채권: 탄소중립, 지구온난화 방지, 저탄소 경제 이행 등에 필요한 사업에 대규모 자금을 조달하기 위한 금융 수단이다. (출처: 동아비즈니스리뷰)

***탄소 자산 담보 대출: 탄소 배출권과 같은 탄소 관련 자산을 담보로 제공하여 자금을 조달하는 금융 방식이다. (출처: 보험연구원)

****탄소 선물: 탄소배출권 가격을 예측하는 투자 방법이다. 탄소배출권 거래 제도를 활용한 투자이다. (출처: 피델리티자산운용)

*****탄소 옵션: 옵션 보유자가 미래의 특정 시점에 미리 정해진 가격으로 탄소 배출권을 매수하거나 매도할 수 있는 권리이다. 탄소 배출권을 기초 자산으로 한 옵션 계약이다. (출처: 한국ESG기준원)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