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해, 건물, 지진, 붕괴, 자연재해
이미지 출처: pixabay

2024년 10월 21일 일본 언론사 마이니치신문(毎日新聞)에 따르면, NPO 법인 ‘일본 화장실 연구소(日本トイレ研究所)’가 전국 지방자치단체를 대상으로 피난민이 사용할 수 있는 화장실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설문에 응답한 379개의 지자체 중 재해 시 화장실이 충분하다고 답변한 경우는 30% 미만에 불과했다.

일본에서는 매년 지진이나 쓰나미 등 자연재해에 의해 많은 피해를 보고 있다. 재해가 발생할 때마다 화제가 되는 것이 피난 시설이다. 한 보도에 따르면, 대부분 하나의 체육관 안에 사람들이 꽉 찰 정도로 대피시설은 복잡하다. (출쳐: NHK) 식사나 생활용품은 지급되지만, 공통적으로 큰 문제로 지적되는 것이 모두가 이용해야 하는 화장실이다.

일본에서 일반 가정의 비데 보급률은 80%를 넘는다. (출처: 토이레나비) 이에 재해가 발생했을 때, 많은 사람들이 가설 화장실에 위화감이나 혐오감을 느낄 가능성이 높다. 가설 화장실은 가정에서 주로 사용하는 양변기와 비슷한 수세식으로도 개발되어 있으나, 하수도 환경에 따라 수세식이 아니거나 변기 모양이 많이 달라질 수 있다. 가격 차이도 크다. 실제로 지난 1월에 발생한 노토반도 지진(能登半島地震) 현장에서는 지역이 반도란 이유로 가설 화장실 자체의 운반이 어려웠다. 뿐만 아니라 설치된 화장실이 화변기라서 고령 세대가 사용하기에 적절하지 못했다는 지적도 있었다. 수요자의 상황을 고려하지 못한 것이다. (출처: 일본 화장실 연구소)

대피소에서는 많은 사람들이 화장실을 이용하기 때문에 냄새나 위생적인 부분에서 참아야 하는 경우가 많다. 이 때문에 아예 화장실을 사용하지 않으려 해서 건강 문제가 발생하는 일도 적지 않다. 또한, 가설 화장실 공간이 남녀로 구분되지 않거나 조명이 없어 성범죄가 발생하기도 해 문제가 되고 있다. (출처: 요미우리 신문)

그러나 지자체는 아직 구체적인 대안을 내놓지 못하고 있다. 실제로 ‘일본 화장실 연구소’의 설문조사에서도 “재해 시 피난민용  화장실 수가 부족할 것”이라고 답변한 지자체의 비율은 53.6%였다. 그 이유로는 “일손이 모자라다”, “관계 부서와의 조절이 어렵다” 등이 꼽혔다.

‘일본 화장실 연구소’ 대표 이사는 큰 재해가 일어날 때마다 ‘화장실 패닉'(トイレパニック)이 발생한다고 밝혔다. 이에 지자체가 지휘계통 체계를 명확히 하고, 책임 소재를 확실하게 하여 다음 재해에 대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화장실 문제가 예민한 주제인 만큼 지원하는 입장에서도 지원을 받는 입장에서도 깨끗한 화장실의 확보가 당연한다는 인식을 가져야 한다고 전했다.

생활 속에서 당연하게 여겼던 것도 재해가 발생하면 순식간에 없어진다. 그중에서도 화장실은 물이나 식사 보급과 같이 생명 활동에 필수인 요소이므로 반드시 확보되어야 한다.일본 지자체들은 재해를 대비한 화장실 보급을 위해 구체적이면서 근본적인 대안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관련 기사의 자세한 내용은 다음의 기사 내용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기사 확인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