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5년 5월 22일 일본 언론사 요미우리 신문(読売新聞)에 따르면, 일본 후생노동성(厚生労働省)의 연구반(研究班)이 실시한 조사에서 치매가 의심된다는 지적을 받고도 검사를 위해 의료기관을 찾은 사람이 전체의 7%에 불과하다는 결과가 나타났다.
아이치 현(愛知県)에 위치한 국립장수의료연구센터(国立長寿医療研究センター)는 치매 위험을 조기 발견하고, 의심 환자들의 의료기관 방문을 촉진하기 위해 만 60세 이상을 대상으로 선별 검사를 시행하였다. 이에 전국 40개 지방자치단체에서 약 1만 3,800명의 대상자가 검사장에 방문하거나 자택에서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또는 VR(Virtual Reality)을 통해 검사를 받았다.
홋카이도(北海道), 아키타 현(秋田県), 아이치 현 내의 19개 지방자치단체에서 검사를 받은 2,567명을 분석한 결과, 치매나 치매 전 단계인 경도 인지장애(MCI-Mild cognitive impairment)가 의심되어 정밀 검사를 권유받은 사람은 1,083명이었다. 그러나 이 중 의료기관에 방문한 사람은 7%에 해당하는 79명뿐이었다. 검사를 권유받고도 의료기관에 방문하지 않은 주요 이유로는 “건강에 자신이 있고, 검사가 필요하지 않다고 생각한다”는 의견이 가장 많았다. 치매에 대한 불안과 편견이 낮은 진찰률로 이어진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한편, 보건사(保健師) 등의 전문가가 전화나 면담으로 진료를 권유한 지방자치단체의 진찰률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나기도 했다.
2024년 5월 내각관방(内閣官房) 회의 자료 ‘치매 및 경도 인지장애의 유병률 및 장래 추계에 관한 연구보고서(認知症及び軽度認知障がいの有病率並びに将来推計に関する研究報告書)’에 따르면, 2022년 기준으로 치매 환자는 약 443만 명, 유병률은 12.3%로 나타났다. 경도 인지장애까지 합치면, 환자 수는 총 1,000만 명을 넘어 고령자의 3~4명 중 1명이 인지 저하를 겪고 있는 셈이다. (참고: 내각관방)
이러한 상황에서 국립장수의료연구센터의 사쿠라이 다카시(桜井孝) 연구소장은 “치매의 조기 관리와 치료가 인지기능의 저하를 늦출 수 있다는 것을 알리는 것이 중요하다”는 의견을 밝혔다. 또한, 후생노동성은 치매를 조기 발견하여 적절한 치료와 간병을 받을 수 있도록 안내서를 가까운 시일 내에 발표할 예정이다.
치매 조기진단의 중요성이 커지는 가운데, 낮은 진료 이행률은 여전히 치매에 대한 사회적 인식의 부족을 보여준다. 조기 검사와 치료가 인지 저하를 늦출 수 있다는 과학적 근거가 축적된 만큼, 향후 정책은 진단 참여율을 높이는 방향으로 설계되어야 할 것이다.
관련 기사의 자세한 내용은 다음의 기사 내용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기사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