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pixabay

2022년 7월 25일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 South China Morning Post)에 따르면, 2035년까지 광둥성(廣東省), 홍콩(香港), 마카오(澳门)의 9개 도시를 경제 강국으로 만들겠다는 중국 정부의 계획에 반대하는 의견이 표출되고 있다고 한다. 선전(深圳)의 기술력과 홍콩의 금융 서비스를 수용하는 거대한 상업 중심지 건설이 정부 입장에서는 큰 경제적 잠재력을 가진다. 하지만 기업과 구직자들은 지역별 고용 교류의 잠재력이 사실상 없다고 말하고 있다.

많은 홍콩인들은 중국 본토의 낮은 임금 때문에 본토로 가는 것을 꺼리는 반면, 중국 남부의 고용주들은 비용과 번거로움 때문에 특별 행정 구역에서의 고용을 꺼리고 있다. 양측은 홍콩인과 본토인 사이의 각기 다른 인식의 차이도 극복해야 할 문제라고 말한다. 홍콩 청년은 대표적으로 본토에 대한 생소함이 걸림돌이 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러한 태도는 고용주들에게도 불리하지만, 그러한 문화적 차이를 떠나서 “홍콩과 본토의” 경제적 통합은 “일국양제(一國兩制)*”에 따른 별도의 법적, 세금 체계, 통화 및 제도적 배치에 의해 제약된다.

중국의 경기 침체는 고용주들에게 더 많은 선택권을 제공한다. 실업률이 높아지면 구직자들의 급여에 대한 기대치를 낮출 것이고, 홍콩인들은 보수가 좋은 일자리를 찾기가 더 어려워지기 때문이다. 최근 중국의 청년 실업률은 19.3%로 치솟은 상황이다. (출처 : 내일신문) 상하이(上海市)와 다른 주요 도시에서 대규모 봉쇄를 강요한 중국 정부의 제로 코로나(zero-COVID) 전략*은 더 치열한 경쟁과 민간 업의 대량 해고에 따라 고용 시장의 불안을 가중시켰다. 이러한 여러 요소를 복합적으로 고려할 때, 중국 청년층이 열망하는 글로벌 빅테크 기업에 대한 홍콩인들의 높은 임금 요구는 그만한 가치가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2년 전, 시진핑(习近平) 주석은 선전의 경제특구 40주년을 기념하는 연설에서 더 많은 홍콩 젊은이들이 중국 본토에서 일하고, 공부하고, 살 것을 요구했다. 이에 중국 정부는 2035년까지 광둥성, 홍콩, 마카오 등 9개 도시를 경제의 핵심 거점으로 만들겠다는 계획을 이미 발표한 바 있다. (출처 : 아주경제) 하지만, 중국의 경기 침체가 확실시되고, 지금까지 고도 성장에 가려졌던 중국의 신용도 문제가 두드러지면서 중국 본토를 향한 고용활동은 지속적으로 줄어들 것이라 판단된다.

해당 기사와 관련된 자세한 내용은 다음의 기사 확인 링크를 통해서 확인할 수 있다. 기사 확인.

*일국양제(一國兩制) : ‘한 국가 두 체제’라는 뜻으로, 중국이 하나의 국가 안에 자본주의와 사회주의 체제를 모두 인정한다는 방식을 말한다. 이 정책은 1997년 중국에 귀속된 홍콩과 1999년 귀속된 마카오에 적용되고 있다. (출처: 시사상식사전)

*제로 코로나(zero-COVID) 전략(고강도방역) : 코로나19 확진자 발생 시 봉쇄 조치를 진행하는 등 강도 높은 규제로 바이러스의 전파를 막는 정책이다. 주로 호주나 뉴질랜드, 중국 등에서 시행하고 있다. (출처:오픈 사전)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