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 11월 2일 ABC news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이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글로벌 포럼 등에 참가하지 않겠다는 의사를 밝힌지 3년만인 11월 4일에 공식적으로 미국의 파리 기후 협약(Paris Climate Agreement) 탈퇴가 발효된다고 밝혔다.
트럼프 정권에서 2017년부터 시추와 배출가스 등 수십 건의 환경보호를 이미 철회한 바가 있다. 동시에 트럼프 대통령이 취임하고 3년간 G20 정상회의에서는 기후변화에 대한 언급을 하지도 않았을 뿐 더러 2025년까지 온실가스 배출량을 28%에서 26%까지 줄이기 위한 파리 정상회담의 목표도 달성하지 못하였다. 환경 전문가들에 의하면, 미국은 2021년까지 혁신과 청정에너지 연구 개발을 위한 재원을 두배로 늘리겠다는 약속을 지키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트럼프 정권은 환경 관련 협정들이 경제를 악화시키고, 노동자들을 괴롭히고, 주권을 약화시킴과 동시에 용납할 수 없는 법적 위험을 가할 것이라는 이유를 말하며 탈퇴 의사를 밝혔다. 그 후, 미국은 기후 변화 대응의 선구자로서의 입지를 잃었다는 평을 받고 있다.
다수의 환경정책 전문가들은 이러한 트럼프의 행보가 오바마 정권이 환경 책임의 시대로 졌던 것에서 한 발 뒤로 물러 선 것이라고 말했다. 게다가, 오바마 행정부는 전 세계의 다른 주요 배출국들에게 환경 문제에 대응하는 조치를 취하도록 영향을 미쳤다.
조 바이든 오바마 정권 시절 전 부통령은 그가 대통령에 당선 될 경우 훨씬 더 급진적인 환경 목표를 추구하겠다고 약속 했다. 바룬 시바람 (Varun Sivaram) 글로벌 에너지정책센터 연구관은 바이든이 당선된다면 6개월 내에 다시 파리 협약에 재입국 하도록 조치를 취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에 사람들은 미국이 향후 몇년 간 기후 행동에서 세계 지도자로서의 역할을 되찾을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는데 동의했다.
파리 기후 협약은 2015년 유엔 기후 변화 회의에서 채택된 조약으로 지구 평균온도상승 폭을 산업화 이전 대비 2℃ 이하로 유지함과 동시에 온도 상승 폭을 1.5℃ 이하로 제한하고자 노력하기 위한 국제적인 협약이다. 유엔 소속국인 미국이 유엔 산하의 기후 변화 협정에서 탈퇴 한다는 것은 당연히 주목 될 수 밖에 없을 것이다. 전 세계적으로 기후 상승과 지구 온난화 등으로 많은 환경 문제가 심각한 실정이다. 모든 국가가 더 이상의 환경 문제를 막기 위해 함께 손을 잡고 연대 할 필요가 분명히 있을 것이다.
대통령 선거 후의 시점인 11월 4일에 공식적으로 파리 기후 협약 탈퇴가 공식 발효 되지만, 탈퇴가 되더라도 투표 결과에 따라 다시 협정이 맺어질지는 아직 미지수다. 이번 대선에서 환경대응에 관한 후보들의 공약과 계획이 유권자들에게 상당히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추후 대통령 선거 결과에 따른 미국 정권의 환경 대응이 어떤식으로 진행될지 지켜봐야 할 필요가 있다.
관련기사는 다음의 기사 확인 링크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기사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