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 소수자, 동성애
출처:flickr

2025년 7월 9일 홍콩 언론사 사우스 차이나 모닝 포스트(South China Morning Post)에 따르면, 7월 3일(현지 시각) 홍콩(Hong Kong) 정부는 동성 결혼의 합법화 법안을 입법기관에 제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 법안은 홍콩 법원이 홍콩 권리장전¹에 따라 “동성 커플이 결혼 여부를 스스로 결정할 수 있도록 정부가 보장해야 한다”고 해석한 데에 따른 조치다. 즉, 인권 보장 의무를 이행하기 위해 정부가 동성 결혼을 법제화해야 한다는 취지를 천명한 것이다.

이번 법안을 두고, 다양성 보장을 촉구하는 입장과 전통적인 가족 가치를 중시하는 입장 간의 사회적 논쟁이 이어지고 있다. 다양성 확대를 지지하는 사람들은 오히려 동성 커플의 핵심적 권리를 충분히 보호하지 못한다고 지적했다. 단순히 결혼을 허용하는 수준을 넘어서, 사회에 만연한 편견과 혐오 표현, 물리적 폭력까지 근절하는 대책이 병행돼야 한다고 주장하는 것이다.

반면, 법안에 반대하는 측에서는 동성 결혼이 전통적인 가족 개념을 훼손할 수 있다는 우려를 표했다. 또한, 물리적·정신적 피해를 주지 않았음에도 동성애에 반대하는 의견 자체를 억압받는 것이 오히려 표현의 자유와 인권을 침해하는 ‘역차별’이 될 수 있다고 비판하고 있다. 이와 함께 이번 법안이 사법부의 과도한 권한 행사에 의해 정부가 억지로 입법을 추진하게 된 사례라면서 문제를 제기했다.

한편 사회적 논쟁가 별개로, 동성 결혼의 합법화가 홍콩이라는 도시 이미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의견도 나오고 있다. 해외 인재 유치를 위해서는 홍콩이 다양성과 포용성을 갖춘 도시로 인식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주장을 펼치는 사람들은 샌프란시스코(San Francisco)의 사례를 언급하며, 동성애자, 예술가, 작가 등 다양한 창의 인재가 거주할 수 있는 환경일 때 새로운 기술과 혁신이 탄생한다는 점을 장조한다. (출처: 브릿지경제) 이는 동성애자가 특별히 ‘똑똑하다’는 의미라기보다는, 서로 다른 존재를 포용하는 사회에서 창조성과 기술 진보가 가능하다는 논리로 해석할 수 있다.

실제로 한국에서도 2015년 대전의 대덕단지 개발 전략을 논의하는 과정에서 샌프란시스코의 사례를 참고해 동성애자에 대한 수용성을 높여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기도 했다. 폐쇄적이고 획일화된 사고방식으로는 IT(Information Technology) 기술 혁신이 어렵다는 이유에서이다. (출처: 대전일보) 동성애를 찬성하느냐 혹은 반대하느냐의 차원을 넘어서, 동성애에 대한 사회의 태도는 그 사회의 ‘포용성 지수²’를 측정하는 하나의 기준이 될 수 있다. 한국 사회 역시 홍콩의 사례를 통해 스스로를 돌아볼 필요가 있다. 이는 동성애 문제에만 국한되지 않는다. AI(Artificial Intelligence) 기업이나 해외 기업들이 국내에 진출했을 때, 한국 사회가 다양한 정체성을 지닌 사람들에 대한 포용적인 태도를 가졌는지도 점검해야 한다는 점을 시사한다. 다.

관련 기사의 자세한 내용은 다음의 기사 내용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기사 확인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