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월 20일 중국 언론사 인민망(人民网)에 따르면, 중국 교육부(教育部)는 최근 ‘초등 및 중등학교 과학 교육 지침’의 발표를 통해 과학 교육의 핵심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다양한 방안을 제시했다. 해당 지침은 교육 행정 기관, 학교, 과학 교사들의 역할을 명확히 하고, 과학 교육의 혁신적인 발전을 위한 향후 계획을 명시했다. 또한 과학 교육을 통해 과학적 사고와 탐구 실천 등 다양한 핵심 역량을 기르는 데 초점을 둔다. 나아가 이를 실천하기 위해서는 교육과정의 체계적 구성, 교육 방식 개선, 교사 양성, 평가 방식 개혁 등의 체계적인 접근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특히, ‘초등 및 중등학교 과학 교육 지침’은 과학 교육의 질을 높이기 위해 교사 양성 방안을 구체적으로 제시했다. 고등교육기관에 과학 교육 전공을 개설하고, 교사 양성을 위한 교육 과정 및 실습 방식의 개선을 강조한 것이다. 또한, 공립 사범대학 학생들에게 과학 교육의 비중을 확대하고, 이공계 대학에서도 과학 교사를 양성하는 프로그램(program)을 지원하도록 개선할 것을 촉구했다.
더불어, 과학 교사 양성과 관련된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했다. 예를 들어, 이공계열 석사 학위를 가진 과학 교사를 각 초등학교에 최소 1명씩은 배치하고, 모든 초등학교에서 과학 교사 자격증을 가진 교사를 배치하도록 한 것이다. 또한, 각 학교에는 최소한 1명의 과학 부교장이 있어야 하며, 고등교육기관이나 연구기관에서 활동하는 과학자나 이공계 전문가를 과학 부교장으로 영입할 것을 장려한다.
디지털(digital) 기술을 활용한 과학 교육의 혁신도 중요한 부분으로 언급되었다. 해당 지침은 스마트(smart) 교육 플랫폼(platform)을 활용한 과학 교육의 디지털화를 강조하고 있다. 특히, 제20차 중국 공산당 전국대표대회(中国共产党全国代表大会)에서는 교육의 디지털화 및 평생학습 등 교육과 정보기술을 결합하기 위한 여러 계획들을 발표했다. 대표적으로 디지털 교육 인프라(infra) 확충과 온라인(online) 공개수업 확대 등이 있다. (출처: 한국과학창의재단) 또한, 가상 시뮬레이션(simulation) 및 컴퓨터 모델링(computer modeling)과 같은 새로운 교육 방식을 연구하고, 과학 교육에 대규모 인공 지능 모델(artificial intelligence model)의 활용을 명시했다. 나아가 데이터(data) 분석 기술을 통해 교육 평가의 정확성을 높이는 등 디지털 기술을 활용하여 과학 교육을 다양하게 발전시켜야 한다는 점을 언급하기도 했다.
이번 지침은 중국의 초·중등학교에서 이루어지는 과학 교육에 중요한 전환점을 제공하고 있다. 이에 따라 과학 교육의 질 향상은 물론이고, 학생들이 보다 창의적이고 실용적인 과학적 사고를 배우는 기회가 가질 것으로 보인다. 나아가 장기적으로는 과학 기술 분야에서 중국의 경쟁력을 높이는 데 기여할 것으로 전망된다.
관련 기사의 자세한 내용은 다음의 기사 확인 링크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기사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