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5년 4월 21일 미국 언론사 씨비에스 뉴스(Columbia Broadcasting System News, CBS NEWS)에 따르면, 체서피크 만(Chesapeake Bay)의 수질을 개선하기 위해 제정된 ‘체서피크 베이 유산법(Chesapeake Bay Legacy Act)’이 메릴랜드 주(Maryland) 의회를 통과하였다. 해당 법안의 통과로 메릴랜드 주의 중요한 산업인 양식업이 크게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번 법안은 지난 2월, 메릴랜드 행정부에 의해 도입되었다. 의회를 통과한 지금은 법안의 시행만을 기다리는 상태이다. *메릴랜드 천연자원부(Maryland’s Department of Natural Resources Secretary) 장관 조시 커츠(Josh Kurtz)는 해당 법안을 통해 **’메릴랜드 환경 참여 농업 리더 프로그램(Maryland Leaders in Environmentally Engaged Farming, LEEF)’과 같은 개혁안도 함께 도입될 것이라고 발표하였다.
구체적으로 ‘체서피크 베이 유산법’은 기존의 복잡하고 다양한 어업 규제를 줄여 양식업의 효율적인 관리를 가능하게 한다. 뿐만 아니라 일본의 전통적인 어류 처리 기법인 ***이케지메(Ikejime)를 도입해 고부가가치 해산물의 생산을 지원한다. 이를 통해 품질 좋은 해산물 생산이 가능해지고, 산업 경쟁력이 높아질 전망이다. 현재 행정부는 여러 기관들과의 협력을 통해 ****대규모 유역 복원 프로젝트(Whole Watershed Project)의 허가 심사를 신속히 처리해 복원 사업의 추진 속도를 높일 계획이라고 전했다.
한편, 메릴랜드 주의 수산업은 연간 약 6억 달러(Dallor)(한화 약 8,571억 6,000만 원)의 경제 효과를 내고 있는 핵심 산업이다. 새로운 법안이 시행된다면, 굴 양식업은 연간 1,300만 달러(한화 약 185억 4,710만원) 이상의 경제적 효과를 낼 것으로 기대된다. *****미국 환경 보호국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EPA)은 깨끗해진 수질을 통해 체서피크 만 주변의 메릴랜드 관광 산업의 성장과 함께 향후 부동산의 가치도 크게 증가될 것으로 예상하기도 했다.
‘체서피크 베이 유산법’은 단순한 환경 규제나 복원 사업에 그치지 않고, 수질 개선을 통해 관광 및 수산업, 부동산 등 다양한 산업의 경제적 이익을 극대화하는 전략으로 평가받고 있다. 경제 성장과 천연 자원 보호를 동시에 실현하는 새로운 패러다임(Paradigm)을 제시한 것이다. 또한, 환경 정책이 곧 지역 경제 발전의 핵심 동력이 될 수 있음을 보여주는 사례로 볼 수 있다. 이번 법안은 경제 성장을 포함해 다방면에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나아가 메릴랜드 주민들을 위한 지속 가능한 미래가 보장되는 계기가 되기를 기대한다.
관련 기사의 자세한 내용은 다음의 기사 내용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기사확인
*메릴랜드 천연자원부: 주립 공원, 공공 토지, 주 산림, 주 수로, 야생 동물 및 레크리에이션(Recreation) 지역을 포함한 천연 자원을 유지 및 관리하는 책임을 맡고 있는 메릴랜드 주의 정부 기관이다. (출처: 위키피디아)
**메릴랜드 환경 참여 농업 리더 프로그램: 환경 보전과 지역사회 발전에 앞장서는 농업인을 인정 및 지원하며, 지속 가능한 농업 실천을 촉진하는 종합적인 인센티브(Incentive) 프로그램(Program)이다. (출처: 메릴랜드 정부)
***이케지메: 어류의 신경을 신속하게 차단해 고기의 품질과 신선도를 유지하기 위해 인도적으로 어류를 도살 및 처리하는 일본의 전통적 기법이다. (출처: 위키피디아)
****대규모 유역 복원: 하천이나 하구 등 하나의 유역 전체를 단위로 삼아 다양한 환경 복원과 보전 활동을 통합적으로 추진하는 사업이다. 수질 개선, 서식지 복원, 야생동물 보호, 기후 회복력 증진 등의 목표를 동시에 달성하기 위해 여러 기관과 단체가 협력하는 과학 기반의 대규모 복원 프로그램의 성격을 가진다. (출처: 메릴랜드 정부)
*****미국 환경 보호국: 환경 보호 문제를 담당하는 미국 정부의 독립 기관이다. (출처: 위키피디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