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5년 7월 24일 중국 언론사 인민망(人民网)에 따르면, 중국 내 전기자전거 보유량이 약 3억 8천만 대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공업정보화부는 정부 방침에 맞춰 전기자전거의 노후화된 리튬 배터리의 폐기 및 회수 정책을 적극 추진 중이다.
공업정보화부(工业和信息化部) 허야충(何亚琼) 사장은 “전국 각 지역의 노후 전기자전거 현황을 이미 파악한 상태”며, “그중 산둥(山东), 허난(河南), 쓰촨(四川), 장쑤(江苏) 등 4개 지역은 3천만 대를 넘어섰다”고 밝혔다. 전기자전거 생산량이 증가하면서 중국에서는 리튬 배터리 사용량도 급격히 늘었다. 특히 장기간 사용했거나 관리 상태가 좋지 않은 배터리 혹은 품질이 낮은 제품이 많아지면서 시민의 안전과 재산도 위협을 받고 있다.
이러한 문제에 대응하기 위해 공업정보화부는 첫 번째 조치로 제도적 기반을 강화하는 방안을 추진했다. <전기자전거용 리튬 배터리 건강 평가 지침>을 발표하고, 전국 단위의 전기자전거 관리 전담팀을 구성해 리튬 배터리 회수 체계를 마련한 것이다. 이를 통해 노후 배터리의 검사 절차와 회수 시스템을 명확히 정비했다. 또한 신에너지 차량의 폐배터리 활용 기준을 개정해 기존 신에너지 차량의 폐배터리를 처리했던 기업이 전기자전거의 폐배터리도 처리할 수 있도록 허용했다. 이는 자동차 분야의 기술과 경험을 전기자전거 분야에도 적용하려는 조치이다.
두 번째로는 전국 단위의 특별 정비 활동을 전개했다. 공업정보화부는 이미 지난해 8월, 베이징(北京)·상하이(上海)·장쑤(江苏)·저장(浙江) 4개 지역에서 전기자전거의 리튬 배터리 건강 평가 및 회수를 위한 시범 사업을 실시했다. 이를 통해 우수 사례와 실무 경험을 축적했으며, 올해 3월부터는 전국적으로 특별 정비 활동도 본격화 했다.이번 조치는 안전을 위협하는 기존의 위험 요소를 줄이고, 배터리의 상태 점검과 폐기·회수를 목표로 하고 있다. 이에 점검 및 회수 거점을 효율적으로 배치해 소비자가 보다 안전하게 배터리를 관리할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최근 기온 상승으로 리튬 배터리의 폭발 위험이 커짐에 따라, 이번 회수·폐기 정책은 전기자전거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중요한 기반으로 평가를 받고 있다. 또한 단순한 안전 확보에 그치지 않고, 수거한 배터리를 재활용해 환경 보호의 효과까지 노린다는 점에서도 의미가 크다. 수거 활동을 넘어 사고를 사전에 방지하고, 시민들의 안전을 확보하는 동시에 환경까지 고려한 종합적인 관리 체계를 마련한 것이다. 앞으로 배터리 점검 및 회수 거점의 확대 등 세부 정책의 추진 방향에도 주목해 볼 필요가 있다.
관련 기사의 자세한 내용은 다음의 기사 확인 링크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기사 확인